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역사적 사건의 회상을 유도하는 공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 ARTLECTURE

역사적 사건의 회상을 유도하는 공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News, Issue & Events/
by 정하경
역사적 사건의 회상을 유도하는 공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VIEW 7794

HIGHLIGHT


서소문 성지 역사 박물관은 재활용 센터, 지하 주차장과 지상의 공원 일부와 어우러지는 지하 4층 규모의 건물이다. 2018년 교황청 승인 국제 순례지로 선포되면서 천주교 신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개된 열린 문화 공간으로 거듭났다.

조선시대 한양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성곽을 두르고, 4방위에 흥인문(동대문), 돈의문(서대문), 숭례문(남대문), 숙천문(북대문)을 두었으며, 이 문들 사이에 작은 문을 두어 도시를 구획하였다. 자연스럽게 궁과 연결되는 문들은 도심의 핵심지로 자리잡게 되면서 사람들이 북적이는 공간이 되었다. 특히 남산의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숭례문은 실제 방위상 남쪽 보다는 서쪽에 크게 치우쳐 있어 숭례문, 소의문(서소문), 돈의문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였으며, 만초천을 따라 의주로(현 통일로) 서강, 용산, 마포 쪽 포구들로 인해 교통의 요충지가 되며 자연스럽게 남대문시장, 칠패 시장, 서소문 시장이 형성되며 한양에서 가장 번화한 장소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번화한 장소는 가장 많은 슬픔을 담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해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는 홍경래의 난, 신유, 기해, 병인년의 천주교 박해,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등의 국사범들의 처형이 집행되며, 44인의 성인을 비롯한 98명의 피로 물들은 장소가 되었다. 그 암울한 분위기는 현대에도 이어졌다. 서소문공원은 1973년에 근린 공원으로 지정 되었지만, 경의선 철로와 서소문고가가 들어서며 접근이 어려워졌고, 쓰레기처리장과 공영주차장 등으로 인해 시민들로부터 더욱 외면 받게 되었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 Photo from 월간 SPACE(공간)



이후 2014, 지하 4 11,000 여 평의 공영주차장 리모델링을 위한 국제현상설계 공모가 진행되었고, 인터커드, 보이드아키텍트, 레스건축의 컨소시엄인시티 인그레이빙 더파크(EN-CITY_ENGRAVING the PARK)’ 디자인이 당선되었다. 당선작은 판화에서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에 모양을 새기는  인그레이빙(Engraving) 기법을 통해 설계 개념을 구축했다. 공원으로 조성된 부지 위에 판화처럼 주요 공간을 조각도로 판 듯이 땅 속에 새겨(en-) 넣으며, 사이트가 품고 있던 역사적 가치와 시대 정신을 바탕으로 죽음을 승화한 치유의 장소이자 종교성을 담은 독특한 분위기의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하여 시민과 함께 공유한다. (건축가의 말 인용)



지상 공원 1 / Photo from 정하경


지상 공원 2 / 지상 공원 3 / Photo from 정하경



서소문 성지 역사 박물관은 재활용 센터, 지하 주차장과 지상의 공원 일부와 어우러지는 지하 4층 규모의 건물이다. 2018년 교황청 승인 국제 순례지로 선포되면서 천주교 신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개된 열린 문화 공간으로 거듭났다. 건물에 들어서면 관람객은 마치 순례길을 걷어가듯 전체 공간을 체험하게 된다. 특히 바닥에서 2m 높이로 떠 있는 정육면체로 구획된 콘솔레이션 홀은 사람이 겨우 드나들며 특별한 체험을 유도한다. 고구려 무용총 내부 구조를 모티브화 한 이 공간은 천주교 박해로 순교한 5명의 성인의 유해를 모시며, 지상에서 부터 내려오는 자연광을 하나의 빛우물 처럼 활용하여 그 경건함을 더욱이 강화한다.



 지하 입구 / 내부 공간 1 / Photo from 정하경


내부 공간 2 / 내부 공간 3 / Photo from 정하경


콘솔레이션 홀_외부 / Photo from 정하경


콘솔레이션 홀_내부 / Photo from 정하경



이후 이어지는 하늘 광장은 지하 3층에서 지상의 공원까지 뚫려 있는 보이드 형태의 공간으로 붉은 벽돌과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하늘로 자연스럽게 시선을 유도하며 관람객은 땅과 하늘이 소통하는 공간적 경험을 하게 되며, 이환권 작가의영웅’, 정현 작가의서 있는 사람들작품들을 통해 체험의 깊이를 더하게 된다.



하늘 광장 / Photo from 정하경


더불어 두 번째 하늘 길과 그 끝에 위치한 권석만 작가의 작품발아’, 지하 2층에 위치한 정하상 기념경당, 다양한 곡선의 활용한 상설, 기획 전시실에서의 공간적 체험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종교적 의미와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깊은 회상을 유도한다.


 하늘 길 / 권석만 작가, ‘발아’ / Photo from 정하경


상설, 기획 전시실 / Photo from 정하경


내부 공간 4 / Photo from 정하경


서소문 역사공원 주변 사이트 / Photo from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공식사이트

B1 Plan /  Photo from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공식사이트


B2 Plan / Photo from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공식사이트


B3 Plan / from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공식사이트


설계공모 당선작품_EN-CITY_ENGRAVING the PARK  /  Photo from 한국건설신문


Cf. https://www.ohseoul.org/2019/programs/서소문-역사공원-및-성지-역사박물관/event/153

 

Information

Architects (설계) : 윤승현(건축사사무소 인터커드) & 이규상(보이드아키텍트건축사사무소) & 우준승(레스건축)

Location (건물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칠패로 5

Site Area (대지 면적) :21,363 

Building Area (건축 면적) : 385.07

Total Floor Area (연면적) : 24,526.47

Building to Land Ratio (건폐율) : 1.8 %

Floor Area Ratio (용적률) : 1.5 %

Construction (시공) : ()동부건설

Structural Engineer (구조) :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Landscape (조경) : 아뜰리에나무 이수학

Interior (인테리어) : ()지오인터내셔널

Year Completed (완공 연도) : 2019

Contact (연락처) : 02-3147-2401

Website : https://www.seosomun.org/

Award : 2019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건축물부분 사회공공부문 본상

           2019 37회 서울특별시 건축상 최우수상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정하경_문화를 읽고, 예술을 말하는 건축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