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Fingers crossed | ARTLECTURE
  • Fingers crossed
    1


Fingers crossed

강나영, 양윤화, 엄지은


2021. 7. 1 ― 8. 1

화요일 - 일요일 (월요일 휴관)

12:00 ~ 18:00


기획: 이연지(out_sight)

포스터 디자인: Downliet X 차지연 X Syeon

전시장소: out_sight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약링크: https://m.booking.naver.com/booking/12/bizes/550803  



out_sight 에서는 강나영, 양윤화, 엄지은 작가의 단체전 《Fingers crossed》이 7월 1일 부터 8월 1일까지 열립니다. 




믿음이라 일컬어지는 것들은 다양하다. 때로는 신념이 되었다가 그 믿음이 어느 순간에는 근거없는 맹신 혹은 미신으로 불리는 것처럼 믿음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자주 신실한 마음과 맹신을 구분하지만 숭고한 신념은 힘겹게 이뤄지고 미신에 기대는 마음은 그저 가볍다고 할 수 있을까? 다분히 느낌으로만 파악되던 이 실체

없는마음은 필요에 따라 단단해졌다가도 다시 유연해진다. 전시 Fingers crossed는 이름 뒤에 가려진 믿음이란 마음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상상한다. 이름 붙여지기 전

끝없는의심과 설득으로 지탱되는 미완의 마음으로서 믿음을 바라본다. 이곳에는 어떤 고결함도 곧은 심지도 없다. 전시의 세 작가가 보여주는 것은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묵묵히 다음을 이어가는 불완전한 움직임이다.



강나영

영국왕립예술학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2019년 오에스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런던 갤러리 스페이스 Chiswick House, Safehouse Gallery 2,캠든아트센터,

스컵쳐 가든 과 바르셀로나 Estudio Nomada 갤러리, 서울 레이져갤러리 등에서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2013년 리즈 East Street Arts Studio

와 2018년 스페인 Mas Els Igols에서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양윤화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에서 활동하며 몸의 움직임과 말, 텍스트, 시간이 얽혀있는 상태에 관심을 갖고 퍼포먼스, 비디오, 사운드 설치 작업등을 해왔다.

2014년 B104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으며 이후 2017년 HITE COLLECTION 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이외에도 2016년 케이크 갤러리에서 단체전에 참여했으며

노타하수스 소소리, Oneroom,아르코미술관 스페이스  실룩스에서등 여러 스크리닝 및 행사에 참여했다.  


엄지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2017년 상업화랑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오뉴월, 아트스페이스 풀, 노타하우스 소소리, 소쇼룸, 돌곶이 생활예술문화센터,

선잠54,민주인권기념관, WESS, 아마도 예술공간, 서교예술 실험센터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  이외에도 인사미술공간, 미디어극장 아이공 ,미싱룸,

일민미술관 등 다수의 스크리닝, 퍼포먼스에 참여했다.



  Accepted  2021-08-08 15:48

*This program is subject to change by the Organizer's reasons, so please refer to the website or the Organizer's notice for more information.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Activity Area : Exhibition Space

The Launcher


아웃사이트는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예술공간으로 2016년 10월에 문을 열었습니다. 

아웃사이트는 보편적 대의, 통계적/추상적 수치로 계측되기 어려운 오늘의 현상, 혹은 이야기들을 예술 혹은 비예술의 형태로 수용, 전시하는 것을 공간의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아웃사이트는 제도와 시장의 관습적 동일성 아래 박제되지 않는 살아있는 예술의 유통을 지향하며, 이러한 예술로의 전환 가능성을 지닌 동시대의 모든 비예술을 지지합니다.

아웃사이트는 수학적 좌표로 환원되지 않고 관료적 조직으로 포섭되지 않는 그리고 내부적 언어의 반복으로도 표상되지 않는, 번역되지 않는 것들을 화두로 가져오는 것에 관심이 있으며 

또한, 그것들이 제도 속에 놓여짐으로써 새로이 생겨나는 경계의 관계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아웃사이트는 위의 원칙으로 국내 외 미술 인력, 담론, 현상들을 보다 직접적이고 국지적으로 연결하는 대안적 동시대성을 도모합니다.


out_sight is an art space located near Hyehwa Rotary, open since October 2016. 

out_sight aims to exhibit art (and non-art) that address issues of our contemporaneity without submitting to universal ethics or hierarchical theories, and without analysing into statistic data or abstract knowledge. For this objective, out_sight supports art that do not conform to the homogenizing system of convention and market (and non-art that bear potentials for transformation into such art). out_sight cares about things that are not subsumed under the bureaucratic structure, that are not reduced into the repetitive system of signification, and that are not compatible to the mathematical coordinate. And we also intend to consider how our intervention can redefine boundaries demarcating the discourse from the oblivion.  


Based on the missions stated above, out_sight pursues radical contemporaneity in whi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workers, local and global discourses, art objects and phenomena are fluidly interconn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