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ight #1, C-print, 170x125cm, 2016 ⓒ천경우Kyungwoo CHUN
MoPS 한미사진미술관 삼청별관의 이번 천경우 개인전은 오랜만에 국내에서 열리는 그의 ‘사진 전시’다. 그간 그가 지속해온 퍼포먼스와 공공미술 작업은 근래에 전시를 통해 한자리에 소환된 바 있지만, 사진으로 귀결되는 프로젝트에 온전히 집중하는 건 국내에서 근 10년 만이다. 사진을 비롯한 퍼포먼스, 영상, 설치, 공공미술의 접점을 유연하게 확장해온 그에게 사진에의 귀환식의 의미부여는 모순일 수 있다. 하지만 “퍼포먼스 역시 확장된 사진”이라했던 그의 말처럼, 천경우의 작업적 지평의 확장을 이끈 요체는 그의 사진적 체험에서 비롯된 물음이므로 사진은 그의 작업 총체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된다.
이번 전시의 제목인 “The Weight”는 천경우가 2016년에 프랑스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명이기도 하지만 사진에 대한 그의 여러 가지 생각을 반영한 키워드이다. 천경우는 나름의 방식으로 사진 속에 이 ‘무게The Weight’를 담고자 하는데 그것은 실감할 수 있는 무게, 즉 물리적 무게인 동시에 심리적이고상징적인 무게이기도 하다. 완벽하게 짜인 규칙과 그 문법에 들어맞는 사진, 사진가에 의해 대상이 선택되는 조건보다, 작가와 함께하는 인물 스스로의해석과 능동적인 존재함, 불확실성을 통한 발견의 과정으로 채워짐을 중요시하는 천경우는 카메라의 장시간 노출, 즉 대상과 함께하는 시간의 지속을 통해 인물의 현존에 다가선다. 인물이 카메라와 대면한 시간의 겹과 공간의 결이 응축된 그 두텁고 중량감 있는 사진은 천경우가 ‘인물이 존재함’을 가장사실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택한 방법이다. 그렇게 천경우의 사진이 상징적으로 지닌 무게는 우리가 존재함으로써 지닐 수밖에 없는 현실의 무게와 상응한다. 그것은 물리적 시공간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사건과 경험의 무게일 수도, 이에 반응하는 우리의 의지와 힘의 무게일 수도, 또는 의지 하고 타협할 수밖에 없는 우리가 타인과 맺는 관계의 무게일 수도 있다. 한편으로, 그의 사진에 담긴 물리적 무게는 무게라는 물성을 예민하게 지각하는 감각에 관한것이다. 실재하는 무엇이든 이미지로 경험하는 탓에 물성에 대한 감각을 잃어가는 오늘날, 천경우는 ‘타인과의 물리적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무디어진몸의 감각을 사진으로 드러낸다. 서로 잘 모르는 이들이 서로에게 기대거나 업혀 그 무게를 감당하거나-《The Weight》, 9명의 에디터가 함께 일하는 동료들의 옷을 즉흥적으로 걸치고 불편함의 무게를 각자의 방식으로 지탱하며 카메라 앞에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경험-《Nine Editors》-은 가장 본질적인 물성의 체험을 통해 자기 자신, 타인과의 관계를 환기시키는 작업이다.
이번 전시에는 퍼포먼스를 기반으로 진행된 사진 프로젝트《Nine Editors》(2014)와 《The Weight》(2016), 그리고 신작 《Reminiscence》(2020)가 소개된다. 폴란드 그단스크시 소재 라즈니아현대미술관의 협력으로 제작된 《Reminiscence》는 그단스크 시의 평범한 노인 7명을 초대해 이들이 자신의 삶에서 가장 소중했던 순간을 회상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다. 10분~15분 길이의 단채널 영상임에도, 눈을 감은 채 음악을 들으며 과거를 회상하는 인물들의 얼굴에 초점이 맞춰져 마치 한 장의 스틸 컷처럼 보인다. 지속된 시공간을 한 장의 사진에 집적시키는 천경우식 사진을 가장 매뉴얼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세 시리즈를 통해 이번 전시가 주목하는 지점은 천경우의 사진이 다양한 상황설정, 주제, 참여자 그룹을 통해 ‘무게’라는 개념에 다가서는 과정이다. 천경우가 이해하는 무게와 그 개념이 사진을 통해 발화하는 의미를 읽어내는 건 그의 사진이 갖는 독보적인 가치를 읽어냄과 동시에 오늘날 사진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늠하는 일이기도 하다. 디지털 시대에 사진은 제2의 언어로서 높아진 위상과 달리 단편적인 시각정보의 전달 매체, 유희의 수단으로 활용되며 가벼움의 표상이 되기도 했다. 천경우는 그러한 사진을 대상에 대한 총체적인 경험을 드러낸 가장 사실적인 언어로, 새로운 감각을 유발하는 언어로 보여주며 사진의 역설적인 힘을 증명한다. / 한미사진미술관
참여작가: 천경우
☆D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