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안채 구조의 오래된 가옥으로 이전한 공간:일리 space illi 의 "프로젝트 규방 Project gyubang" 은 안채와 사랑채를 모티브로 성별에 따른 역할 구분 없는 다양성을 추구하는 가옥 구조를 취하며, 6명의 신진작가 선정하고 개인전으로 진행합니다.
첫 번째 사랑채 신진작가 서지우는 역사와 관련된 유물, 유적, 건조물, 건축 양식 또는 조형적 구조에 대해 관심을 기반으로, 시각적 형태에 주목하여 역사적 사건과 현 시대의 동형을 이끌어내는 조각을 보여줍니다. 그의 작품은 공간:일리가 위치한 신영동 삼거리부터 세 개의 터널까지 다양한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담아 내고 있습니다. / 공간:일리
작가와 전시 소개
서지우는 역사와 관련된 유물, 유적, 건조물, 건축 양식 또는 조형적 구조에 대해 관심을 기반으로, 시각적 형태에 주목하여 역사적 사건과 현 시대의 동형을 이끌어내는 조각을 보여준다.
전시 «이 마을에 사는 지우가 무엇에 귀를 기울이는가»는 서울시 종로구의 부암동과 홍지동, 신영동, 구기동, 평창동을 아우르는 ‘세검정’을 토대로, 그곳에 거주하는 작가 자신이 발견한 건축과 구조물의 유래 또는 과거의 흔적을 작품으로 엮어내고 있다.
본래 ‘세검정’은 1623년 인조반정 당시 ‘검을 씻은 정자’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작가는 지역의 이면에 숨은 시대성과 장소성을 탐구하여 그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재구성하고 있다.
세검정의 유입구로서의 세 개의 터널, 구기 터널과 자하문 터널, 북악 터널의 형태는 조각을 통해 재구성되며, 마당을 가로지르는 기둥에는 윤동주의 시와 정조의 시가, 정약용 등의 구절을 배치하여 장소적 특성을 부각해내고 있다. 전시장 내부의 조합되지 않은 조각은 일명 ‘우두커니’로서 옛 벽이나 담장이 쌓아올려진 축대를 연상시키며 분해됨으로써 각기 다른 의미를 발생시킨다. 동시에 ‘몸뚱이’ 조각은 1950년 이후 전쟁 피난처이자 벙커로 지어졌던 건축의 형식을 차용하여 내외부의 표면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세 개의 공간을 관통하는 사운드(sound)는 세검정이라는 지역의 성격을 비가시적으로 연결해낼 것이다.
☆Donation: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