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왜 오래된 명화는 지루하게 느껴질까? | ARTLECTURE

왜 오래된 명화는 지루하게 느껴질까?

-영국 내셔널 갤러리 (2)-

/Site-specific / Art-Space/
by Ayla J.
왜 오래된 명화는 지루하게 느껴질까?
-영국 내셔널 갤러리 (2)-
VIEW 240

HIGHLIGHT


취향에 따라 누군가는 고전작품을, 또 누군가는 현대작품을 선호한다. 현대미술은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아트페어, 갤러리 전시에서 활발하게 다뤄지며, 최근 기술과의 융합으로 점점 더 다채로워지고 있다. 새로운 시도와 흥미로운 요소들은 계속해서 추가되며 융합된다. 물론 시대를 탐구하는 진지한 고찰들은 그 속 어딘가에 숨어있다. 난해함 자체를 즐길 수 있는 현대미술과 달리, 미술관에 걸린 오래된 명화들은 어떨까?

명화는 대체로 수업시간에 유명한 작품들로 처음 접하게 된다. 배우고 알아야 할 지식으로 접근하다보니 시험이나 과제에 대한 의무감과 지루함으로 이어진다.. 그림을 그림으로 보지 못하고 배경지식과 학습의 대상으로 먼저 접근하다보니 생기는 부작용이다. 그렇지만 미술관에 가면 결국 유명하다고 들은 작품이나 언젠가 한번 보았거나, 들어본 작품들을 찾게 마련이다. 물론 그렇게 아는 작품이라고 해서 그 배경지식을 다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매일같이 길게 늘어선 줄을 보며, 나를 포함한 사람들은 내셔널 갤러리에 가서 무엇을 보고 어떻게 감상하는 걸까 문득 궁금했다. 어쩌면 마치 오래된 건물이나 유명한 풍경의 관광지를 찾는 것 처럼 ‘Must See 혹은 Must Visit’ 에 대한 의무감 같은 건 아닐까.

아이러니한 말이지만 사실, 내셔널갤러리는 13세기부터 모더니즘이 시작되는 인상주의까지,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들이 밀도 높게 전시되어 있어, 공부하기에 딱 좋은 미술관이다.

필자 역시 오래된 것은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했다. 쿰쿰한 냄새가 날 법도 한 고리타분한 유물작품들. 인상주의자들이 그토록 혁신하고 싶었던 전통적이고 클래식한 묘사들, 성화와 귀족들의 초상화들에 이어 사진기의 발명과 함께 결국 모더니즘의 문을 열어 제친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까지 과거의 온 시대가 한 장소에 공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어느 순간 놀랍고 신선하게 느껴졌다.

내셔널 갤러리의 방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내셔널 갤러리에는 미술관측이 제공하는 맵이 있긴 하지만언제나 미로같은 곳을 헤매는 느낌이 든다때로는 그런 방황 속에서 뜻하지 않은 작품들을 마주치는 즐거움도 있지만공간 구성을 잠시 살펴본다.

내셔널 갤러리는 크게 가운데를 중심으로 두개의 윙으로 구성되어 있다먼저 왼쪽의 9~29번 방의 구석구석에는 홀바인의 대사들아르놀피의 부부레오나르도 다빈치티치아노루벤스렘브란트 등 르네상스의 거장들의 작품들이 있다.

오른편, 35~45번 방의 구석구석을 돌아보면컨스터블피사로터너쇠라반 고흐 등 17~18세기의 작품들과 인상주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그리고 시간상여건상 놓치기 쉬운 지하에는 중세와 초기 르네상스시기의 작품들이 걸려 있다.

 

 

9~29번 어딘가 사진출처 필자


9~29번 어딘가 홀바인의 대사들사진출처 필자


35~45번 어딘가 세잔의 자화상이 보인다사람들이 몰려있는 곳에는 대체로 고흐의 그림이 있다사진출처 필자

 

35~45번 어딘가 모네의 그림이 보인다사진출처 필자

 

상대적으로 조용한 지하 C-F 사진출처 필자

 

 

필자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상설전 외 드가와 카라바지오의 기획전이 열리고 있었다.

 


Discover Degas & Miss La La

6 June – 1 September 2024

 


Discovery 기획전 시리즈는 잘 알려지지 않은 걸작을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하는 전시 시리즈라고 한다이번에는 드가가 탐구했던 페르난도 서커스의 미스 라라’ 를 중심으로 한 작품들이 있었는데드가의 스케치 노트들과 그림들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The Last Caravaggio

18 April - 21 July 2024

 


카라바조의 나폴리에서의 마지막 몇 년을 이야기 하며 성 우르술라의 순교, 1610, Gallerie d'Italia, Naples 와 세례 요한의 머리를 든 살로메'(1609~10년경와 제작설명을 담은 편지 이렇게 심플하게 전시 되어 있었다어두운 방 안에 작품 두 점이 갖는 아우라가 사실 어마어마했다.

 


Salome receives the Head of John the Baptist,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609-10 ⓒthenationalgallery 사진출처 필자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들 중

 

내셔널 갤러리에 갈 때 마다 나의 눈을 사로잡는 것은사실 고흐의 그림도 그 유명한 아르놀피니의 부부의 초상화도 보티첼리의 작품도홀바인의 대사들도 아니다별다른 내용 없이 홀로 서 있는 이 거대한 말은 언제봐도 반갑고 경이롭다는 생각이 든다어쩐지 슬픈 눈빛을 하고 있지만 사람들로 가득한 그림과 사람들로 가득한 전시장 안에 홀로 우뚝 서 있는 아름다운 말 한 마리대부분의 말 그림들은 타고 있는 사람이 주인공이 되는 그림이라면조지 스터브스의 이 그림은 한마리 말 자체가 주인공이다그를 바라보게 된다.

 


Whistlejacket, George Stubbs(1762) 사진출처 필자

 



이번에 돌아봤을 때 성 미카엘이 악마를 때려눕히는 그림이 참 재미있다고 생각했다진지한 분위기의 그림 속 악마의 모습이 너무 모던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마치 요즘의 그림처럼 익살스럽게 그려진 악마가 미안하게도 귀엽다는 생각이 들어 한참을 바라보았다이 그림은 15세기 스페인의 작품으로여러 패널로 된 제단화 중 중앙 부분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이 악을 정복하는 미카엘 천사와 악마 이야기는 중세 후기 미술가들에게 인기 있는 주제였다그림은 금빛 배경에 미카엘을 중심으로 그려져 있으며그는 금속성의 금빛 갑옷과 붉은 망토를 두르고 있다갑옷에는 반짝이는 보석들이 장식되어 있어 상당히 화려하다그의 아래에는 회색 옷을 입은 기도하는 사람과 검은 악마가 삼각형 구도로 안정감 있게 배치되어 있다.

 

색감이 강렬하고 독특하며악마의 익살스러운 표현이 돋보인다악마의 표정과 자세는 전통적인 악의 이미지를 떠올리기보다는 어딘가 친근하고 귀엽게 느껴졌다옛날에 그린 그림인데도 이렇게 현대적이고 익살스러운 표현이 가능했다는 점이 놀라워 한참 동안 감탄하며 바라보았다.

 


Saint Michael Triumphs over the Devil, Bartolomé Bermejo, 사진출처 필자



9일 동안 영국의 여왕이었던 레이디 제인 그레이그녀는 1553년 7에드워드 6세가 죽은 뒤 여왕으로 즉위했지만가톨릭 메리 튜더를 지지하는 세력에 의해 폐위되었다개신교 신앙을 이유로 반역죄로 재판받은 그녀는 불과 17세의 나이에 1554년 2월 12타워 힐에서 참수당했다.

우연히 지나가다가 그 크기에 압도당해 한참을 바라보던 제인 그레이의 죽음지금도 생각하면 가슴이 아득해진다사실 제인 그레이의 처형은 실외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그렇든 아니든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 싶지만권력과 종교에 대해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인간의 잔인함이란 정말 당시에는 아무렇지도 않은 일이었다.

그저 준비가 되기를 기다리는 사형집행인손 쓸 수 없는 무력감에 무너져 내린 시녀들그리고 친절한 척 사형대로 그녀를 안내하는 탑의 부관 존 브리지스 경유난히 하얀 옷을 입고 하얀 천으로 눈을 가린 레이디 제인 그레이.

 

그 모습을 보고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The Execution of Lady Jane Grey, Paul Delaroche, 사진출처 필자 


 

사실 내가 내셔널 갤러리에서 이전부터 참 좋아했던 그림은 간달프의 흔적이 있는(?!) 악셀리 갈렌 칼레라의 호수 그림이다.



Akseli Gallen-Kallela, Lake Keitele,1905  사진출처 필자 

 


은빛느낌의 회색 선은 호수 표면을 시원하게 가로지른다고요함이 느껴지는 호수회색과 푸른색흰색이 주제색인 그림 속 왼쪽 위로 단정하게 떠있는 작은 나무섬이 지루함을 덜한다호수는 캔버스를 넘어 넓게 펼쳐져질 것만 같다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둔 하단에는 상단의 산과 구름하늘나무가 반영되어 은은하게 투명하다자세히 보다 보면 캔버스 천 질감이 살아있다자칫 진지해질 뻔한 회색 톤이파란 하늘과 자유로운 형태의 하얀 구름으로 균형을 잡았다.

Akseli Gallen-Kallela 악셀리 갈렌 칼렐라(1865-1931), 핀란드의 화가다사실주의 화풍으로 경력을 시작했지만이후 칼레발라의 신화적 주제로 관심사를 옮겨갔다. 1890년대에 상징주의와 사실주의 양면에서 모두 상당한 작품을 남겼다.

이 그림은 핀란드 중부 지역의 케이텔레 호(Lake Keitele)에 대해 그 시기 제작한 관련된 네 개의 그림 중 하나다. 19세기 후반 핀란드는 민족주의가 성장하고 있었는데러시아 대국의 자치 대공국이었다가 볼셰비치 혁명 이후인 1917년에 독립국가가 되었기 때문이다고대 핀란드 민족 시와 신화 Kalevala라는 서사시와도 관련된 풍경이 자주 나타나는데 이는 핀란드 자주주의에 대한 중요한 표현이었다고 한다갈렌칼라도 이를 그림의 소스로 사용했다하지만위의 그림에서는 인물이 나타나지 않는다인간 존재의 유일한 흔적은 호수 표면의 지그재그 패턴이다이 패턴은 물론 바람과 호수의 흐름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는 자연현상일 수 있지만갈렌칼라 자신은 'Väinämöinen배이내뵈이넨*의 발자취'라고 언급했다고 한다. Kalevala의 시인이자 주인공인 그가 호수를 노닐 때 만들어진 풍경이라고.

*Väinämöinen은 J. R. R. 톨킨의 간달프가 된 모델이기도 함

 

마무리 하며,

사실 내셔널 갤러리는 너댓 번밖에 가보지 않았지만갈 때마다 늘 새롭고 약간 당황스럽다미술사에 해박한 지식이 없어 스쳐 지나가는 그림들도 많았고미술사를 조금 공부하고 나서야 알아차리게 되는 그림들을 발견할 때는 반가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갈 때 마다 새로운 그림들과의 예상치 못한 만남은 늘 즐겁다.

한국에서는 유물 중심의 박물관인 국립중앙박물관 외에 상설 전시가 지속되는 회화 중심의 미술관이 없다는 사실이 아쉽다그래서 내셔널 갤러리처럼 국가에서 설립해 200년 동안 똑같은 그림들을 꾸준히 전시하는 미술관이 서울에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한 곳에 앉아 그림을 그리고사람들을 구경하고다시 그림을 보고 또다시 볼 수 있는오랜 친구 같은 미술관그런 공간이 그립다


이전 편 보기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Ayla J. 예술을 통해 삶을 용서하고, 예술을 통해 삶을 사랑하고, 예술을 통해 삶 속에서 노는 법을 배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