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느린 호흡의 미학, 작가의 창작과정을 공유하는 아트 플랫폼 | ARTLECTURE

느린 호흡의 미학, 작가의 창작과정을 공유하는 아트 플랫폼

-아티스트캔버스-

/Art & Tech/
by 이현희
느린 호흡의 미학, 작가의 창작과정을 공유하는 아트 플랫폼
-아티스트캔버스-
VIEW 1677

HIGHLIGHT


플랫폼의 흥미로운 점은 서로의 공간을 연결한다는 것이다. 작업실 뿐 아니라 야외에서 작업하는 모습, 전시공간에서 바로 작품을 설치하는 모습을 보며 결과물만 보던 작업의 과정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흔들리는 카메라 앵글이나 예상치 못한 장애물은 그들의 작업 환경을 짐작하게 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 이 즐거움이 대중들에게는 어떻게 어필될지 모르겠지만 관심 있는 작가의 작업과정은 연구진이나 미술애호가들에겐 충분히 흥미로운 소재로 다가올 수 있을 것 같았다.

미술에 있어서도 온라인 기록은 중요하게 여겨지는데, 아카이빙 플랫폼을 이용한 기록이나 SNS게시가 주된 방법이었다. 그리고 COVID19 이후 오프라인 전시 관람에 어려움을 겪으며 동영상이나 VR을 이용한 기록도 눈에 띄게 많아졌다. 한편 온갖 분야의 동영상이 넘쳐나는 유튜브에서 미술은 상대적으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대중적이고 다양한 소재로 각광 받는 널 위한 문화예술이나 편안한 분위기에서 작가 인터뷰를 진행하는 윤기원의 아티스트 톡등이 두각을 나타내며 미술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최근 예술계에서는 시대의 변화와 대중에 니즈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려고 하고 있고, 이 콘텐츠는 간결하고 명료하게, 때로는 자극적이고 재미있게 대중을 유혹한다. 오늘은 이런 대세적 흐름과 무관하게 흘러가는 시간을 추적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나누려하는 아주 느린 호흡의 플랫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아티스트캔버스 송출 장면, 아티스트캔버스 제공



 

아티스트캔버스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사이언스월든이 개발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작가가 자신의 작업 과정을 송출하고, 대중은 그 캔버스를 구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캔버스의 가격은 작가가 책정하게 되어있고, 구독비용은 최소한의 송출비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작가에게 돌아가는 구조다. 이 과정을 통해 작가는 대중과 작업 과정을 공유하고, 대중은 궁금했던 작가의 작업 과정을 감상 및 응원하는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기대를 담고 있다.

 

사실 짧고 간결한 영상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 요즘, 느림을 추구하는 이 플랫폼이 대중에게 어떤 어필을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아티스트캔버스 운영팀은 모두가 잘 편집된 결과물만 바라볼 때, 편집되고 잘려나간 시간들에 주목하고 싶었다.”고 그 취지를 밝혔다. 작가들의 기나긴 작업 시간을 함께하고, 선택적 감상이 아닌 우연히 마주친 시간을 함께함으로써 결과물보다 과정을 향유한다는 것이다. 이 플랫폼은 사이언스월든 연구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상업적 목적이 없기에 가능한 도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동안 과학예술융복합을 위한 다각적 연구를 진행해온 연구진들은 예술가들의 순간 순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었던 것 같다. 캔버스의 기록들은 아카이빙 없이 소멸됨을 원칙으로 한다. (물론 자체 녹화 기능이나 캡쳐를 할 수도 있지만) 그야말로 그 시간을 함께 보내고 기억 속에 묻는 것이다.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서는 1분도 되지 않는 시간에 작품 과정을 압축해서 감상할 수 있고, 쇼처럼 화려한 액션을 보여주거나 형형색색 물감의 향연으로 시각, 촉각을 자극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아티스트캔버스에서 만난 작가의 터치는 매우 느리며, 어제했던 작업에서 진도가 나가지 않기도 하고, 다음 작업을 위한 구상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날것의 작업과정은 지루하게도 보이지만 이 지루한 시간을 인고하며 작업하는 작가의 모습이야 말로 우리가 작품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는 이유일지 모른다.

 


김순임 작가의 캔버스



이 플랫폼의 흥미로운 점은 서로의 공간을 연결한다는 것이다. 작업실 뿐 아니라 야외에서 작업하는 모습, 전시공간에서 바로 작품을 설치하는 모습을 보며 결과물만 보던 작업의 과정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흔들리는 카메라 앵글이나 예상치 못한 장애물은 그들의 작업 환경을 짐작하게 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 이 즐거움이 대중들에게는 어떻게 어필될지 모르겠지만 관심 있는 작가의 작업과정은 연구진이나 미술애호가들에겐 충분히 흥미로운 소재로 다가올 수 있을 것 같았다. 한편으로는 작업 과정의 호흡을 함께 공유한다는 것도 의미 있겠지만 이후 완성된 작품에 대한 아카이빙도 있다면 더욱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보태본다. 그 소멸됨을 존중하면서도 과정에서 발견되는 예술적 공감을 조금 더 길게 간직하고 싶다는 아쉬운 마음을 담아 짧은 기록을 남겨본다.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 이현희. 시각예술작가이자 독립기획자. 아하하아트컴퍼니에서 활동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