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 | ARTLECTURE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

-아트북 로드맵-

/Art & Preview/
by 이삭
Tag : #예술서적, #사진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
-아트북 로드맵-
VIEW 18

HIGHLIGHT


필자는 사진 매체를 중심으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입니다. 예술작업을 하며 오랜 기간 사 모은 예술 관련 서적을 세어보니 약 800권에 육박하게 되었습니다. 책이 많아야 작업을 잘 할 수 있는 건 절대 아니지만 기본 레퍼런스가 있어야 안심이 되는 성향 때문에 계속 책을 사 모으게 되었습니다. 주전공인 사진, 영상 서적 외에도 모든 장르 별 미술 서적과 문학, 음악 등 인근 예술 기본 서적 및 미학, 철학, 신학, 과학 등 세계관에 기초가 되는 서적들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쉽게 구입 가능했던 베스트셀러 책들도 있지만 어떤 책들은 이미 절판되었기에 정말 어렵게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한 중고 서적들도 있습니다. 이미 읽은 책보다는 안 읽은 책이 훨씬 많지만 구입 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구입한 책들이기에 앞으로 분야별로 보유하고 있는 예술 관련 서적들의 목록 및 그 용도를 정리하려 합니다. 그리하여 이미 예술계에 들어와 있는 분들에게는 각자 예술의 확장에 도움을 주고 예술계에 이제 진입하려는 분들에게는 로드맵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소망해봅니다.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3

 

일곱번 째로 소개하려는 예술서적 분야는 예술의 각 매체를 개괄적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본 서적들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주매체와 인접한 매체들을 융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그 여덟번째 시간으로 사진 매체와 관련된 서적들을 계속 탐구하려 하는데 필자의 주전공이기에 좀더 깊고 넓게 관련서적들을 소개하고자합니다.



 

 

5) 사진매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서적

사진 매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쉽게 쓰여진 책들을 소개합니다.

1. 완전한 사진 (Andreas Feininger/월간사진)

출간된지 40년 넘었지만 자신만의 사진철학을 정립하는데 기반이 되어주는 책입니다. 사진매체에 입문할 당시 줄을 그어가며 정독했던 기억이 납니다.

2. 사진강의노트 (Philip Perkis/눈빛)

50여년간 사진을 가르쳐온 저자의 단상이 담긴 책입니다. 좋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보는 연습이 필요하며 있는 그대로 보되 섣부른 의미부여는 하지말라고 조언합니다.

3. 사진예술개론 (한정식/열화당)

사진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체계적인 안내서로 오랜 기간 사진을 공부하고 작업하는 이들의 바이블로 여겨지는 책입니다. 국내 대학 사진학과 교재로도 많이 체택되었던 스터디셀러 입니다.

4. 사진, 예술로 가는 길 (한정식/눈빛)

사진에 대한 이론 중심의 서적인 사진예술개론을 집필했던 저자가 사진의 실제를 실기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틀에 박힌 사진에서 벗어나 한 단계 진보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고심하는 사진가들에게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5. 사진이란 이름의 욕망기계 (장정민/IANN)

내가 현재 가질 수 없는 무언가의 대용품으로 내 곁에 둘 수 있는 수단으로서 사진을 정의합니다. 오늘 촬영한 기념사진이 내일 영정사진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욕망에 따라 수많은 목적에 봉사하는 사진의 특성을 파헤칩니다.

6. 느낌을 찍는 사진사 (강종진/해뜸)

자신의 감정을 사진 이미지로 표현하는 과정을 들여다봅니다. 피사체 앞에서 느끼는 사진가의 감정과 감상자가 사진으로부터 느끼는 감정을 탐구합니다.

7. 사진도 예술입니까? (홍상현/한양대학교출판부)

회화가 모사의 영역을 사진으로 넘겨주었듯이 사진이 디지털 기술로 대체되는 시기에 디지털 기술이 결코 대체할 수 없는 사진 매체만의 예술적 표현 특성을 확인합니다. 사진의 기록과 재현 특성이 낯설게 하기의 프로세스를 거쳐 사진적 추상에 도달하는 절차를 분석합니다.




 

 

6) 사진매체와 타분야의 접점을 탐구하는 서적

다음으로 사진매체와 텍스트, 미술, 과학, 철학 등 다른 분야와의 접점에 대해 탐구하고 있는 책들을 소개합니다.

1. 사진과 글의 페어링 (박이찬/Dot Book)

사진은 단순히 순간을 기록하는 특성을 넘어서 작가의 시선과 감정 및 삶의 철학이 녹여져 있습니다. 사진 이미지에 더 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감정을 증폭시키는 텍스트와 이미지와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2. 사진, 미술을 초대하다. (김석원/아트북스)

사진을 주체로 하여 사진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사진과 미술의 관계를 살펴봅니다. 초현실주의, 포토리얼리즘, 개념예술 등 사진과 미술 모두에 큰 관련을 맺었던 사조도 되돌아봅니다.

3. 사진과 회화 (이토우 도시하루/시각과언어)

사진이 발명된 이후 회화의 변천 과정을 따라갑니다. 인간의 눈과는 다른 기계의 눈 등장으로 인한 인간의 지각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4. 박상우의 포톨로지 (박상우/문학동네)

과학과 사진의 관계를 19세기 과학사진사를 통해 다룹니다. 가장 객관적이고 명증한 과학의 도구로 각광받는 기록 미디어로서 사진의 가능성과 한계, 속성과 본질이 논의됩니다.

5. 사진 인문학 (이광수/알렙)

한 장의 사진에 담긴 의미를 철학의 주요 개념들을 통해 파헤칩니다. 인문학적 사유와 사진 이미지를 연결시켜 특정 철학의 개념이 어떻게 사진 이미지 속에서 구현되는지 탐색합니다.

6. 사진 철학의 풍경들 (진동선/문예중앙)

사진을 철학적으로 탐색하여 사진에 철학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웅변합니다. 철학적 사유의 창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바라보게 합니다.

 

지난편: 1-  아트북 로드맵: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 | 아트렉처

2- 아트북 로드맵: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 | 아트렉처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 이삭_ 사진을 주매체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로 소장하고 있는 약 800권의 예술 서적들을 목록화하고 용도를 소개하여 예술계 확장과 진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