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A.회화 | ARTLECTURE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A.회화

-아트북 로드맵-

/Art & Preview/
by 이삭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A.회화
-아트북 로드맵-
VIEW 1501

HIGHLIGHT


필자는 사진 매체를 중심으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입니다. 예술작업을 하며 오랜 기간 사 모은 예술 관련 서적을 세어보니 약 800권에 육박하게 되었습니다. 책이 많아야 작업을 잘 할 수 있는 건 절대 아니지만 기본 레퍼런스가 있어야 안심이 되는 성향 때문에 계속 책을 사 모으게 되었습니다. 주전공인 사진, 영상 서적 외에도 모든 장르 별 미술 서적과 문학, 음악 등 인근 예술 기본 서적 및 미학, 철학, 신학, 과학 등 세계관에 기초가 되는 서적들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쉽게 구입 가능했던 베스트셀러 책들도 있지만 어떤 책들은 이미 절판되었기에 정말 어렵게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한 중고 서적들도 있습니다. 이미 읽은 책보다는 안 읽은 책이 훨씬 많지만 구입 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구입한 책들이기에 앞으로 분야별로 보유하고 있는 예술 관련 서적들의 목록 및 그 용도를 정리하려 합니다. 그리하여 이미 예술계에 들어와 있는 분들에게는 각자 예술의 확장에 도움을 주고 예술계에 이제 진입하려는 분들에게는 로드맵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소망해봅니다.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A.회화

 

일곱번 째로 소개하려는 예술서적 분야는 예술의 각 매체를 개괄적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본 서적들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주매체와 인접한 매체들을 융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첫 번째는 전통적으로 시각예술의 대표 매체였으며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있는 회화 매체를 탐구하는데 적합한 서적들을 소개합니다.

 



 

1) 회화 매체의 역사와 관련된 서적

우선 회화 매체의 역사를 탐구하는데 적합한 서적들을 소개합니다.

1. 그림의 역사 (David Hockney & Martin Saybord/미진사)

지난 수천 년간 그림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지 그리고 왜 만들어져 왔는지 탐구하는 책입니다. 3차원의 세계를 2차원의 편평한 표면 위에 표현한 회화, 사진, 영상 사이의 연관성과 상호작용을 보여줍니다.

2. 회화의 역사 (H.W. Janson & D.J. Janson/열화당)

동굴벽화에서 포토리얼리즘까지 순수하게 회화의 역사를 기술합니다. 시대별로 회화의 변화를 충실하게 추적합니다.

3. 천년의 그림 여행 (Stefano Zuffi/예경)

서양미술사에서 자주 언급되는 그림들을 알기 쉽게 해설한 책입니다. 서기1000년부터 약 1000년간 중요한 작가와 작품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어 각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기 용이하고 책에 실린 도판의 품질이 매우 뛰어납니다.

4. 데이비드 호크니와의 대화: 다시, 그림이다. (Martin Gayford/디자인하우스)

저명한 미술평론가인 저자가 10여년에 걸쳐 데이비드 호크니와 만나 대화한 내용을 기록한 책입니다. 표현가능한 거의 모든 매체를 통해 작품을 만들어온 데이비드 호크니가 오랫동안 열심히 바라보아야 그릴 수 있는 회화 매체가 어떻게 세상을 볼 수 있게 하는지 역설합니다.

 



 

2) 회화 매체의 미학과 관련된 서적

이번에는 회화 매체의 미학과 관련된 책들을 소개합니다.

1. 예술과 환영 (E.H. Gombrich/열화당)

시지각과 재현의 심리학에 관련된 연구를 토대로 회화 매체에서 양식 변화에 대한 해석을 탐구합니다. 이로인해 예술작품 창작과 감상 사이에서 일어나는 관계를 밝혀냅니다.

2. 교양 서양미술 (Charles Blanc/인문산책)

명암법, 원근법, 색채론, 터치, 스타일 등 회화의 문법을 토대로 서양미술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화가들의 그림을 언급하여 회화의 예술론 및 미학 이론을 정립한 책입니다. 고흐의 작업에도 영향을 미쳤던 서양미술의 고전적 바이블입니다.

3. 그림을 보는 기술 (Masako Akita/까치)

각 시대를 대표하는 명화들을 예시로 구도, , 경로, 색감, 균형 등을 분석하여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설명합니다. 화가가 관객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찾아내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4. Hopper: 빈방의 빛 (Mark Strand/한길사)

일상을 그려내어 삶의 이면을 끄집어 낸 호퍼의 그림이 지니는 '떠남과 머무름의 역설'을 분석한 책입니다. 현실이 드러내는 모습을 넘어선 감각이 지배하는 가상공간에 관객을 위치시키는 호퍼의 그림을 읽어냅니다.

5. 추상미술 읽기 (윤난지/한길아트)

추상미술의 거장들과 그 작업들을 해석하여 시대 순으로 구성한 책입니다. 20세기 모더니즘 이후 추상미술의 맥락을 여러 각도에서 읽어내고 있습니다.

6. 동양화 읽는법 (조용진/집문당)

동양화를 감상할 때 발견되는 의문에 답하는 책입니다. 서양화와는 구별되는 동양화의 감상법을 알려줍니다.

 



 

3) 회화 매체의 미학과 관련된 서적

마지막으로 회화매체의 기법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서적들을 소개합니다.

1. 그림은 금방 능숙해지지 않는다. (Naritomi Miori/스몰빅아트)

각자의 목적과 장점에 맞추어 그림을 잘 그릴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일반적인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해놓은 타서적과 달리 개인별 맞춤 로드맵을 알려주어 매우 유용한 서적입니다.

2. 선 하나로 시작하는 느낌있는 그림 그리기 (OCHABI Institute/영진닷컴)

그림의 원리를 파고드는 접근으로 초보자들도 알기쉽게 데생의 기초를 설명합니다. 모든 사물을 기본적인 선과 도형으로 분해하여 그리는 논리적 데생기법을 소개합니다.

3. 마크키슬러의 드로잉수업 (Mark Kistler/라의눈)

쉽게 따라할 수 있는 9가지 입체 드로잉 비법을 알려줍니다. 하루 20분씩 한달만 투자하면 마음먹은데로 그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4. 드로잉의 정석 (백남원/성안당)

드로잉의 원리부터 설명하여 체계적으로 훈련받도록 구성된 책입니다. 그림의 기본이 되는 펜 잡는법, 선 그리는 방법부터 알려줍니다.

5. 인체데상기법 (Jack Hamm/고려문화사)

인체 데상기법만을 집중적으로 소개한 책입니다. 신체의 부위 별로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6. 그림, 색에 관한 모든 것 (백남원/연두m&b)

색에 관한 기초 개념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림을 그릴 때 필요한 색채의 관찰법과 배색하는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7. 믹스드미디어아트 실용테크닉45 (Darlene Olivia McElroy & Sandra Duran Wilson/황소자리)

회화에 깊이와 질감을 부여하는 45개의 믹스드미디어 기법을 소개하는 가이드 북입니다. 일상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독창적인 작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아직 끝까지 읽어보지 못한 서적의 소개는 책의 서문 및 책을 구입했을 당시 참조했던 서평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본 분야에서 위에 언급했던 서적 외에 추가로 주목할 만한 책을 알고계신다면 별도로 추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 이삭_ 사진을 주매체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로 소장하고 있는 약 800권의 예술 서적들을 목록화하고 용도를 소개하여 예술계 확장과 진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