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주/문헌
(1)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테마 현대미술 노트 : 1980년 이후 동시대 미술 읽기- 무엇을, 왜, 어떻게』, 문혜진 역, 두성북스, p.72. 참고. (2) 치카노는 미국에 사는 멕시코 이민자와 그 후손을 지칭한다. 멕시칸 아메리칸 또는 멕시코계 라티노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멕시칸 아메리칸은 미국인으로 동화된 멕시코계 사람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치카노는 그렇지 못한 사람을 지칭하는 비하의 의미를 담는다. 시민권 운동 과정에서 치카노라는 용어에 담긴 비하와 경멸의 의미는 멕시코계 미국인들의 고유한 문화적 자산과 인종적 정체성을 긍정하는 자기 확인의 표현으로 재규정되었다. 임상래, 이담,『라티노와 아메리카 : 라티노, 히스패닉, 치카노 그들은 누구인가?』, 어울누리 학술연구 15, 2013. p.39~43. (3) 베트남전쟁에 파견된 사상자 수에 있어서 치카노가 현저하게 높은 비율을 기록한 것에 대한 불만과 함께 LA 동부 지역의 표준이하의 정규교육 시스템에 대항하여 일어났다. 당시 멕시칸 아메리칸의 전체 인구의 1/4만이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가필드 고등학교의 유급률은 전국의 최고였으며, 59%의 학생들이 전체 커리큘럼을 완전히 이수하지 못하고 떨어졌다. 1968년 미국에서 가장 광범위한 바리오 지역인 동부 LA의 다섯 개 고등학교의 학생 1000명이상의 들이 표준이하의 교육체계에 대항하여 거리에 나왔다. 이후 시 당국은 대규모 시위 이후 치카노를 공적 영역 외부로 몰아내고 이들 간의 소통을 차단하기 위한 징계적인 조치로 준군사상태의 경찰을 배치하여 치카노가 공공장소에서 회합하고 활동하는 것을 엄격히 제한했다. C. Ondine Chavoya. “Orphans of Modernism: The Performance Art of Asco", Corpus Delecti - Performance Art of The Americas : Coco Fusco(ed),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0, p.241. (4) 김진아, "20세기 말 미국의 라티노/라틴아메리카 미술전시-변화양상과 쟁점", Revista Iberoamerica 23.3(2012), p.118, 참고. (5) 메스꺼움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6) Marvin Carlson, Performance : a critical introduction, Routledge New York and London, 2004, p.180-182, 참고. (7) C. Ondine Chavoya(2000), p.252. (8) 라틴아메리카의 퍼포먼스는 크게 두 가지 특성을 보인다. 가톨릭에 기반해 종교적이고 영적인 의식의 성격을 띠거나 대중문화의 영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패러디를 사용하고 카니발리스크적인 성격을 띠면서 동시에 반제도적이고 반전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Coco Fusco(2000), "Introduction: Latin American Performance and the Reconquista of Civil Space", Corpus Delecti - Performance Art of The Americas : Coco Fusco(ed),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0, p7. 참고. (9) 푸스코는 초기의 퍼포먼스 활동에서 퍼포먼스 작가이자 이론가인 고메즈-페냐와 여러 설치작품, 퍼포먼스와 해적 라디오 방송 작업을 함께 만들었다. 푸스코는 퍼포먼스 미술가이자 이론가로서 샌디에고를 기반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 고메즈-페냐를 뉴욕의 춤연극워크샵 컨퍼런스에서 1988년에 만났다. 그 이후 라디오방송 <라디오해적: 콜럼버스는 나가라(RADIO PIRATA: COLÓN GO HOME!)>(1992-1993), 퍼포먼스 <북 : 남(NORTE: SUR)>(1990) 등과 라티노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을 생산하는 파트너쉽 관계를 이어갔다. 이들의 협동작업은 1995년까지 지속되었고, 그 이후 각자 독립적인 활동을 펼치게 된다. (10)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만큼 많은 라틴아메리카와 라티노 미술전시가 개최되었다. 김진아(2012), pp.114, 참고. (11) 김진아(2012), pp.113, 참고. (12) Mary Ellen Croteau, "“Coco Fusco”. In The Latina Artist: The Response of the Creative Mind to Gender, Race, Class and Identity", Exh. cat., New Brunswick, NJ: The Center for Latino Arts and Culture,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1998, p.20. (13) Jean Fisher, "Witness for prosecution: the writings of Coco Fusco", the bodies that were not ours - and other writings : Coco Fusco,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inIVA, 2001, p.228. (14) 헬렌 길버트, 조앤 톰킨스, 『포스트 콜로니얼 드라마 : 이론, 실천, 정치』, 소명 출판사 , 문경연 역, 2006, p. 33. (15) 소설이나 시에서 표현되는 의미와는 달리 공연 중에 코드화 된 의미와 지식이 소통하는 다양한 층위들은, 독자적으로 혹은 다른 것들과 결합하면서 제각각 대항 담론으로 작동할 수 있다. 공연에서 소통 가능한 기호학적 약호에는 의상, 세트 디자인, 극장 설계(공간 설계), 조명, 음악, 안무, 사투리와 억양을 포함한 구두 언어와 몸짓언어, 배역 선정 등과 이 외에 여러 텍스트 외부적 요인들, 즉, 역사적 맥락, 유명 스타들의 출연료 등과 관련된 경제적인 요소 등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어떤 장면을 연출하거나 인물의 의상을 선택하는 것은, 패러디를 통해 일반적인 규범을 전복하든 보통 지배적인 문화에만 특권화 되었던 재현의 기호를 전유하든 간에, 정전 텍스트의 전제에 의문을 제기할 만한 부가적인 다른 층위를 제공할 수 있다. 정해진 대사와 종결된 플롯임에도 불구하고, 연극의 공연 기호들과 맥락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래 대본에서 이미 결정되어 버린 권력 구조를 얼마든지 생산적으로 뒤집을 수 있는 것이다. 앞의 글, p.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