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신화
⁕ 민족의 대이동을 중심으로 북유럽부터 중앙아시아(러시아)-중국-한국-일본의 역사문화공동체와 그 사람들의 이야기로 구성
⁕ 북유럽의 매직로드 등 새로운 이동경로 소개
⁕ 동북아시아의 고대 여신신화 소개
⁕ 각 파트별로 신화관점에서의 문화예술 컨텐츠 해독
– (1년차) 세계신화여행-아시아/아프리카신화, (2년차) 아시아신화여행,
(3년차) 남방실크로드신화여행, (4년차) 중동신화여행에 이은 다섯 번째 이야기
구분 | 일정 | 강좌명(예정) | 강사 | 소속 |
---|---|---|---|---|
1 | 4.11 | 유라시아 신화: 동서양 신화와 문명의 교류 – 신화를 통해서 본 유라시아 국가들의 문명 교류 흔적 – 건국신화에서의 늑대와 새(독수리, 매, 까마귀) – 여신 혹은 여성과 연결된 우주나무로서의 버드나무 <유화부인과 만주족 시조여신으로부터 헤라여신까지> | 최혜영 | 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 |
2 | 4.18 | 매직로드, 시베리아를 지나 스칸디나비아까지 – 순록썰매를 타고 이동하던 사람들의 길, 매직로드 – 시베리아 샤먼에서 켈트족의 드루이드 사제까지 마법을 한다고 믿어지던 사람들 – 순록썰매와 별의 아이 <라플란드>,<사미족>,<요이크> – 북유럽 신화와 켈트신화 | 김윤아 | 이야기공작소 파수 대표 |
3 | 4.25 | 창세신화에서 영웅신화까지: 만족, 허저족, 아이누 – 여신들의 전쟁, 만족의 창세신화 <우처구우러본(천궁대전)> – 죽음에 맞서는 여성 영웅 니쌍 <니쌍샤만> – 영웅과 누이, 허저족의 이마칸 <만투머르컨> – 영웅과 전쟁, 아이누의 유카르 <쿠투네시르카> | 최원오 |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
4 | 5.2 | 슬라브 신화와 러시아 정령담 – 슬라브 신화 : 창조 신화 및 상위·하위 신 소개 – 한국과 러시아 정령담_숲의 정령과 물의 정령 – 두 얼굴의 바바 야가_조력자 vs 유아 유괴자 – <불새>의 스토리텔링 분석 | 이재정 | 계명대학교 실크로드 중앙아시아 연구원 연구교수 |
5 | 5.9 | 초원 민족의 서사시와 중국 신화 대공정 – 3대 유목 영웅서사시 <게세르>, <장가르>, <마나스> – 세계신화총서와 신화 다시쓰기(重述神話) – 티베트 계 중국 작가 아라이의 소설 <거싸얼 왕> | 문현선 | 동아시아 신화연구자 |
6 | 5.16 |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신화 – 시베리아와 알타이 – 시베리아 샤머니즘을 보는 시각의 변화 – 시베리아 네오샤머니즘 – 바이칼의 <게세르> 신화 – 샤머니즘과 신화 | 양민종 | 부산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
7 | 5.23 | 유라시아 여신들의 신화 – 몽골과 만주의 시조모 신화(천녀하강 신화), 우리 신화 <나무도령>과 <선녀와 나무꾼> – 중국 전통극 <천선배>, 오페라 <로엔그린> – 누가 하늘을 기웠나? 몽고족의 ‘마이더얼 마마’와 만주족의 ‘하이룬 아가씨’ – 소녀들은 왜 길을 떠났나? <오늘이>와 <바리데기> | 문현선 | 동아시아 신화연구자 |
8 | 5.30 | 곰과 인간의 만남: 아이누 신화를 중심으로 – 아이누의 삶과 역사, 그리고 문화 – 아이누의 신화와 곰 제의 <이오만테> – 야생의 생태철학과 현재적 의미 : 나카자와 신이치의 대칭성 인류학과 증여론 | 신진숙 |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HK교수 |
☆D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