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아카데미
강의일자 | 강의명 |
---|---|
1주(3월 6일) | 좌절된 꿈과 옛 사랑의 기억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1925)와 <위대한 개츠비>(2013)) |
2주(3월 13일) | 오만한 ’그’에 대한 ’그녀’의 편견(?)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1813)과 <오만과 편견>(2005)) |
3주(3월 20일) | 사랑과 용서와 구원 (레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1877)와 <안나 카레니나>(2012)) |
4주(3월 27일) | 사랑과 용서와 구원 (레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1877)와 <안나 카레니나>(2012)) |
5주(4월 3일) | 패션의 역사, 인간을 사유하다 Ⅰ (고대에서 르네상스까지) |
6주(4월 10일) | 패션의 역사, 인간을 사유하다 Ⅱ (바로크와 로코코, 신고전주의) |
7주(4월 17일) | 패션의 역사, 인간을 사유하다 Ⅲ (인상주의에서 샤넬까지) |
8주(4월 24일) | 패션의 역사, 인간을 사유하다 Ⅳ (현대 패션의 스펙트럼) |
9주(5월 1일) | 전복과 반전의 순간 - 격정적 음악사 Ⅰ |
10주(5월 8일) | 전복과 반전의 순간 - 격정적 음악사 Ⅱ |
11주(5월 15일) | 전복과 반전의 순간 - 격정적 음악사 Ⅲ |
12주(5월 29일) | 쇼스타코비치 발레 ’황금시대’ (볼쇼이 극장 실황) |
13주(6월 5일) | 소비에트 발레 영화의 황금기 (잠자는 숲속의 미녀, 지젤, 백조의 호수) |
14주(6월 12일) | 쇼스타코비치 발레 ’맑은 시냇물’ |
15주(6월 19일) | 이고르 모이세비치 러시아 전통 발레 실황 & 라흐마니노프 칸타타 ’종’ |
수요일아카데미
강의일자 | 강의명 |
---|---|
1주(3월 7일) | 근대 미술사의 경계를 묻다: 신여성을 통해본 근대 미술 Ⅰ (서화와 회화의 사이_기생 서화가들) |
2주(3월 14일) | 근대 미술사의 경계를 묻다: 신여성을 통해본 근대 미술 Ⅱ (에미는 선각자였느니라_서양화단 속의 여성들) |
3주(3월 21일) | 근대 미술사의 경계를 묻다: 신여성을 통해본 근대 미술 Ⅲ (동양화단 속의 여성들) |
4주(3월 28일) | 근대 미술사의 경계를 묻다: 신여성을 통해본 근대 미술 Ⅳ (미술과 기예의 사이_자수과 출신 여성 미술가들) |
5주(4월 4일) | 푸치니 (투란도트 Turandot) |
6주(4월 11일) | 미술관에서 클래식을 듣다 Ⅲ (전쟁 이후 현대 음악의 전개) |
7주(4월 18일) | 미술관에서 클래식을 듣다 Ⅲ (현대 도시와 클래식 음악) |
8주(4월 25일) | 미술관에서 클래식을 듣다 Ⅲ (제3세계 클래식 문화의 가치) |
9주(5월 2일) | 미술관에서 클래식을 듣다 Ⅲ (21세기 상황과 클래식 음악) |
10주(5월 9일) | 베르디 (일 트로바토레 Il Trovatore) |
11주(5월 16일) | 동의보감으로 보는 삶의 지혜와 비전 Ⅰ |
12주(5월 23일) | 동의보감으로 보는 삶의 지혜와 비전 Ⅱ |
13주(5월 30일) | 사람 그리고 영화 Ⅰ (A.I, 인간 그리고 영화) |
14주(6월 13일) | 사람 그리고 영화 Ⅱ (<안나 카레니나>와 <마담 보봐리>의 선택) |
15주(6월 20일) | 사람 그리고 영화 Ⅲ (<헝거>, <라이프 오브 파이> 인간의 의지) |
☆D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