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플랫폼엘 | ARTLECTURE

플랫폼엘

-건축적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Site-specific / Art-Space/
by 정하경
플랫폼엘
-건축적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VIEW 2047

HIGHLIGHT


학동역 인근에 위치한 플랫폼엘은 건물 그 자체만으로도 주변 텍스트들을 압도한다.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들과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재료와 수평의 띠를 통해 그 정체성을 확립한다. 특히 이 패턴은 루이 14세가 정립한 프렌치 바로크 디자인을 모티브로 삼았다.

강남구 학동역 인근에 위치한 플랫폼엘은 건물 자체만으로도 주변 텍스트들을 압도한다.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들과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재료와 수평의 띠를 통해 정체성을 확립한다. 특히 패턴은 루이 14세가 정립한 프렌치 바로크 디자인을 모티브로 삼았다. 루이 14세는 기하학과 미학을 기반으로 서체학의 아름다움에 이를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베르사이유 궁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도 이를 활용하였다. 플랫폼엘은 바로크 기하학을 새롭게 해석하여 외부 파사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마름모 형태의 문양을 만들어냈다.

 


Façade /  Photo from 5osA_오사


특히 내부 프로그램을 감싸고 있는 파사드는 하부의 조명을 통해 밤에는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Façade with Moon / Photo from 정하경


플랫폼엘은 단순히 작품을 감상하는 미술관의 역할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형태들의 문화예술 행사들을 진행할 수 있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제 1종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하공간을 활용한 플랫폼 라이브, 머신룸 등을 통해 전시 공간의 확장을 이루어 냈으며, 별관에 위치하고 있는 아넥스 공간을 활용하여 또다른 프로젝트를 기획하기도 한다. 


Platform Live / Photo from 대한건축사협회

  1. Machine Room / Photo from Platform-L

  1. Annex / Photo from Platform-L


  2. 특히 본 건물의 중정은 이중적 의미를 담아내고 있는 것이 매우 흥미롭다. 형태적 구성은 매스를 비워낸 보이드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서양의 중정의 건축적 형태와 유사해 보이나, 두가지 프로그램으로 분리 된 건물을 매개하는 동양의 마당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 공간은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전시 공간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1층에 위치하고 있는 카페가 확장되기도 하고, 오프닝 및 클로징 파티와 같은 전시와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 가능한, 그야 말로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1. Link Yard / Photo from 대한건축사협회


  1. Link Yard / Photo from 대한건축사협회


  1. Special Diagram2 /  Photo from Platform-L


  1. Drawing / Photo from Platform-L


Information

Location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33 11

Architects : JOHO Arcthiecture

Area : 2173.6 

Contact : 02-6929-4470

Website : https://platform-l.org/

Award : 한국건축가협회상올해의 건축 BEST 7’

한국건축문화대상 준공건축물부문우수상

35서울시 건축상’ 2017

American Architecture Prize, ‘Bronze’

외 다수

 

Cf.

건축공감, [한국현대건축 1/100] #1 플랫폼엘,Platform L, 루이까또즈-건축가 이정훈,Lee Jeong Hoon

https://www.youtube.com/watch?v=BIUth2Cmx_8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정하경; 문화를 읽고, 예술을 말하는 건축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