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차학경은 이민자이다. 그녀의 어머니 허형순 역시 이민자로의 삶을 살았다. 이민자의 삶을 살았던 차학경은 한국인으로, 미국인으로 완전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없는 경계에선 존재이다. 아시아 이민 여성인 그녀는 자신이 받은 더 나아가 소수자들이 차별받은 구조에 대항하고자 제국주의 언어 교육의 방식으로서 육체화된 식민지적 글쓰기의 방식인 딕테이션의 형식에 저항하고자 차학경의 언어는 낯설고 생소하다. 그렇게 작가 차학경은 저항적 글쓰기로의 딕테를 완성했다.
차학경 테레사 학경 차는(Thereas Hak Kyung Cha)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는 한국계 미국이민 여성이다. 1951년 부산에서 태어나 1962년 하와이로 이주해 1964년 샌프란시스코로 다시 이주 했다. 그녀는 언어를 공부했으며 UC버클리대학에서 비교 문학 학가 그리고 예술학 학사와 석사를 받았다. 그녀는 학부 과정에서 불어와 영화 이론 공연과 미디어 예술을 전공 하였으며 졸업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작가이다. 차학경의 혼재된 파진언어는 법과 질서가 지배하는 세계를 교란시킴으로써 해방을 가능케하는 언어이다. 그녀의 작품을 프랑스 정신분석가 줄리아크리스테바의 기호계 언어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차학경의 처음이자 마지막이 된 유고작인 딕테는 그녀의 장례식날 출간되었다. 딕테는 총9개의 언어로 구성된 책이다. 파진언어 즉, 불어 영어 한국어는 마구 뒤섞이여 있으며, 딕테의 화자 또한 한 명의 목소리가 아닌 억압되고 타자화된 다양한 여성들의 목소리가 담긴 텍스트이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왜 차학경은 문법적 구조에서 해독 불가능한 낯선 텍스트를 생산했을까?
<차학경의 딕테이션>
문단 열고 그 날은 첫날이었다 마침표 그녀는 먼 곳으로부터 왔다 마침표 오늘 저녁 식사 때 쉼표 가족들은 물을 것이다 쉼표 따움표 열고 첫날이 어땠지 물음표 따옴표 닫을 것 적어도 가능한 최소한의 말을 하기 위해 쉼표 대답은 이럴 것이다 따옴표 열고 한 가지밖에 없어요 마침표 어떤 사람이 있었어요 마침표 멀리서 온 마침표 따옴표 닫고
작가 차학경은 이민자이다. 그녀의 어머니 허형순 역시 이민자로의 삶을 살았다. 이민자의 삶을 살았던 차학경은 한국인으로, 미국인으로 완전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없는 경계에선 존재이다. 아시아 이민 여성인 차학경은 자신이 받은 더 나아가 소수자들이 차별받은 구조에 대항하고자 제국주의 언어 교육의 방식으로서 육체화된 식민지적 글쓰기의 방식인 딕테이션의 형식에 저항하고자 차학경의 언어는 낯설고 생소하다. 그렇게 작가 차학경은 저항적 글쓰기로의 딕테를 완성했다.
서구 남성중심주의적 체계와 그로인해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차별과 혐오에 저항하고자 차학경은 9개의 다른 타자의 목소리로 구성된다. 말하는 여자로서의 차학경의 언어는 마치 무당을 연상시킨다. 이는 산자와 죽은자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무당 자신의 입에서 흘러나오지만 그 말의 주체는 무당의 언어가 아닌 원혼들의 언어를 대신 말해준다. 이처럼 차학경의 텍스트는 자전적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주체들의 언어를 대신 전해주는 언어이다. 고착된 고정성의 언어가 아니라, 크리스베타의 이론 처럼 과정-중의 주체이며 경계선 주체이다. 흐르는 존재, 경계 사이에 존재하는 망명하는 인간은 희망적 노마디즘으로의 자유로운 인간이다. 또한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인간은 본디 불편한 아브젝트로의 대상화된 존재이다. 태어나면서 어머니와 분리가 된다. (탯줄로 잘려진 모습) 그 분리됨은 혐오와 불편함을 만든다. 아브젝트란, 분리됨에 따른 낯설로 혐오스러움이다. 예를들면 우리랑 밀착된 음식과 우리 몸에서 배설된 배설물을 바라보는 그 끔찍하고 더러운 아브젝트를 생각하면 알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의 본성 탄생 자체가 아브젝트인데 이것을 억압하고 배제한 그래서 근대적 인간관 (인간은 이성적이며 온전히 독립된 주체이다)만으로 인간의 본질을 읽을 수 있을까? 크레스테바의 이론에 의하면 터부시되고 불편하고 때로는 혐오스러운 것들이 우리의 삶을 교란시켜 그 틈 사이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아방가르드적 태도는 삶의 본질을 말해주며 이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예술이며 차학경의 언어는 바로 새로움을 가능케 하는 몸짓이다.
Enquiry for Registration / Advertisement / Article Registration: support@artlecture.com Purchase or Sales Enquiry: support@artistnote.com
*Art&Project can be registered directly after signing up anyone. *It will be all registered on Google and other web portals after posting. **Please click the link(add an event) on the top or contact us email If you want to advertise your project on the main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