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적 안내) 지난 편: https://artlecture.com/article/3420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k.사진-4
일곱번 째로 소개하려는 예술서적 분야는 예술의 각 매체를 개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본 서적들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주 매체와 인접한 매체들을 융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그 여덟번째 시간으로 사진 매체와 관련된 서적들을 계속 탐구하려 하는데 필자의 주전공이기에 좀더 깊고 넓게 관련 서적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7) 사진이미지 해석과 관련된 서적
사진 이미지를 해석하고 독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서적들을 소개합니다.
ㅡ
1. 사진 기호학 (진동선/푸른세상)
기호학의 개념 및 사진의 표현과 해석을 둘러싼 코드들을 접목시킨 책입니다. 사진으로 무엇을 보았는지, 어떻게 보았는지, 어떻게 표현하고 어떻게 보아야 할지를 깨닫게 해주는 방법론으로서 사진 기호학을 살펴봅니다.
ㅡ
2. 사진 이미지의 진실과 거짓 (김철권/생각나눔)
사진의 발명에 의한 시각예술의 발전과정을 따라가면서 사회현상의 변화와 인간 의식구조의 변천 과정을 분석합니다. 사진이 이미지화 하면서 사진의 본질적인 특성이 변화하고 있음을 기술하며 사진과 이미지가 같은 것인지 혹은 다른 것인지 탐구합니다.
ㅡ
3. 인공지능시대의 사진이미지 읽기(박평종, 박주석, 천경우/달콤한책)
사진은 암시와 은유를 담고있는 모호한 기호이기에 메세지를 읽어내기 쉽지 않습니다. 언어로서의 사진 이미지를 독해하기 위해 필요한 사진의 주요 문법들을 정리하였습니다.
ㅡ
4. 시지각과 이미지 (Richard D. Zakia/안그라픽스)
이미지 제작 과정보다 중요한 이미지를 인식하는 인간의 시지각 작용을 분석합니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작가들에게 꼭 필요한 시지각 심리 원리들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ㅡ
5. 사진, 회화, 그래픽디자인의 이미지 구성과 데포르마시옹 (윤영범/커뮤니케이션북스)
시각예술 역사를 바탕으로 대상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강조하거나 변형하는데 사용하는 데포르마시옹을 살펴봅니다. 예술가들이 시각예술의 영역에서 보여주었던 예술적 성찰과 표현의 특성을 예술사조와 함께 조망합니다.

8) 사진의 역사와 관련된 서적
다음으로 사진의 역사를 개괄하고 있는 책들을 소개합니다.
ㅡ
1. 사진의 역사 (Beaumont Newhall/열화당)
사진의 탄생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사진의 역사 전개 과정을 조망하고 있습니다. 사진사에 대한 교과서로 대우받고 있는 책입니다.
ㅡ
2. 세계사진사 (Jean-Claude Lemagny & Andre Rouille/까치)
사진의 역사를 연구하는 전문가 15명이 각 전공별로 기술한 책입니다. 지금까지 발간된 여러 사진사 문헌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종합한 뒤 새로운 분석을 더 했습니다.
ㅡ
3. 사진예술의 풍경들 (진동선/문예중앙)
예술로서 사진이 걸어온 길을 짚어오며 사진의 역사에서 의미깊은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사진의 시대성을 종축으로 두고 동시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의 역사성을 횡축으로 하여 예술로서의 사진사를 살펴봅니다.
ㅡ
4. 사진의 언어 (손영실/Mug)
지금까지 출간된 시대별 나열 방식의 사진사 서적과는 다르게 일련의 사건과 작가 간의 연관 관계를 중심으로 사진의 역사를 풀어낸 책입니다. 사진이 기술의 발달과 동시대 예술에 어떻게 영향을 받으면서 매체적 특성을 구축하고 변모해왔는지 당시의 사회 문화적 상황을 통해 추적합니다.
*아직 끝까지 읽어보지 못한 서적의 소개는 책의 서문 및 책을 구입했을 당시 참조했던 서평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본 분야에서 위에 언급했던 서적 외에 추가로 주목할 만한 책을 알고계신다면 댓글로 추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