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E.조각/ F.설치 | ARTLECTURE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E.조각/ F.설치

-아트북 로드맵-

/Art & Preview/
by 이삭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E.조각/ F.설치
-아트북 로드맵-
VIEW 577

HIGHLIGHT


필자는 사진 매체를 중심으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입니다. 예술작업을 하며 오랜 기간 사 모은 예술 관련 서적을 세어보니 약 800권에 육박하게 되었습니다. 책이 많아야 작업을 잘 할 수 있는 건 절대 아니지만 기본 레퍼런스가 있어야 안심이 되는 성향 때문에 계속 책을 사 모으게 되었습니다. 주전공인 사진, 영상 서적 외에도 모든 장르 별 미술 서적과 문학, 음악 등 인근 예술 기본 서적 및 미학, 철학, 신학, 과학 등 세계관에 기초가 되는 서적들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쉽게 구입 가능했던 베스트셀러 책들도 있지만 어떤 책들은 이미 절판되었기에 정말 어렵게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한 중고 서적들도 있습니다. 이미 읽은 책보다는 안 읽은 책이 훨씬 많지만 구입 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구입한 책들이기에 앞으로 분야별로 보유하고 있는 예술 관련 서적들의 목록 및 그 용도를 정리하려 합니다. 그리하여 이미 예술계에 들어와 있는 분들에게는 각자 예술의 확장에 도움을 주고 예술계에 이제 진입하려는 분들에게는 로드맵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소망해봅니다.

필자는 사진 매체를 중심으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입니다. 예술작업을 하며 오랜 기간 사 모은 예술 관련 서적을 세어보니 약 800권에 육박하게 되었습니다. 책이 많아야 작업을 잘 할 수 있는 건 절대 아니지만 기본 레퍼런스가 있어야 안심이 되는 성향 때문에 계속 책을 사 모으게 되었습니다. 주전공인 사진, 영상 서적 외에도 모든 장르 별 미술 서적과 문학, 음악 등 인근 예술 기본 서적 및 미학, 철학, 신학, 과학 등 세계관에 기초가 되는 서적들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쉽게 구입 가능했던 베스트셀러 책들도 있지만 어떤 책들은 이미 절판되었기에 정말 어렵게 비싼 돈을 주고 구입한 중고 서적들도 있습니다. 이미 읽은 책보다는 안 읽은 책이 훨씬 많지만 구입 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구입한 책들이기에 앞으로 분야별로 보유하고 있는 예술 관련 서적들의 목록 및 그 용도를 정리하려 합니다. 그리하여 이미 예술계에 들어와 있는 분들에게는 각자 예술의 확장에 도움을 주고 예술계에 이제 진입하려는 분들에게는 로드맵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소망해봅니다.

 

예술매체별 개관 서적: E.조각/ F.설치

 

일곱번 째로 소개하려는 예술서적 분야는 예술의 각 매체를 개괄적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만한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본 서적들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주매체와 인접한 매체들을 융합하여 작업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세번째로 조각/ 설치 매체를 탐구하는데 적합한 서적들을 소개합니다.

 



 

1) 조각 매체와 관련된 서적

먼저 회화와 더불어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있는 조각 매체와 관련된 서적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봅니다.

1. 조각 감상법 (조은정/대원사)

회화와 같은 평면 매체와는 달리 공간을 점유하여 감상자와 작품이 하나가 되게하는 조각 매체를 감상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을 알려줍니다. 확장하고 있는 조각의 범주부터 조각의 조형요소와 조각의 재료 등을 언급합니다.

2. 1000개의 조각, 1000가지 공감 (이경아/아이템하우스)

인류 최초의 조각부터 시작하여 금세기 최고의 조각가의 작품까지 평생 한번은 보아야 할 조각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시대와 인물, 사상과 역사에 맞추어 각 조각 작품의 존재 이유를 설명합니다.

3. 조각이란 무엇인가 (Herbert Read/열화당)

조각예술의 심미안을 갖게 만드려는 목적으로 서술된 조각매체와 관련된 미학서적입니다. 매체의 구분이 엄격했던 모더니즘 시대에 저술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전통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는 조각매체의 미학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4. 현대조각의 흐름 (Rosalind E. Krauss/예경)

과거의 조각과 구분되는 현대 조각만의 특성을 간파해낸 이론서입니다. 현대 조각의 시초로 로댕을 언급하며 현상학이라는 새로운 사고의 틀을 통해 실제 시간이라는 요소가 조각에 도입되는 측면을 일관된 관점으로 분석합니다.

5. 부조조각의 정석 (Lora S. Irish/씨아이알)

3차원보다 2차원의 특성을 많이 갖고있어 비전공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부조 조각을 배우는데 필요한 모든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조각도 다루는 법부터 나무 고르기, 패턴 작업, 실제 조각법까지 각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2) 설치 매체와 관련된 서적

이번에는 조각 매체와 같이 입체 매체로 분류되는 설치매체에 대해 탐구하는 서적들을 소개합니다.

1. 장소 특정적 미술 (권미원/현실문화)

1960년대 후반 미니멀리즘에서 시작되어 특정한 장소의 경험적 이해에 기반을 둔 장소 특정적 미술의 계보를 살피고 있습니다. 현대미술에서 장소성의 개념에 관한 고전으로 장소 특정성에 대한 복합적인 해석을 이끌어내었습니다.

2. 설치미술 감상법 (서성록/대원사)

일상의 물건들을 활용하여 공간에 재구성하는 설치 미술의 기본 개념과 계보를 소개합니다. 설치 미술의 대표적인 여러 작품들을 함께 소개하여 설치 작품의 감상에 도움을 줍니다.

3.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정연심/A&C)

현대 미술의 가장 큰 특징은 설치적인 요소가 포함된 작업이 주류로 등장했다는 점입니다.설치미술의 기원부터 최근까지 외국작가를 중점으로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4. 한국의 설치미술 (정연심/미진사)

196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사이 한국의 설치미술을 추적합니다. 한국 설치미술의 특수성과 자생성을 살펴보면서 서구미술계와 횡단하는 공통의 특징과 동시대성을 분석합니다.

*아직 끝까지 읽어보지 못한 서적의 소개는 책의 서문 및 책을 구입했을 당시 참조했던 서평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본 분야에서 위에 언급했던 서적 외에 추가로 주목할 만한 책을 알고계신다면 댓글로 추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글. 이삭_ 사진을 주매체로 설치, 영상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예술가로 소장하고 있는 약 800권의 예술 서적들을 목록화하고 용도를 소개하여 예술계 확장과 진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