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ARTLECTURE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타지 서울’ 그룹전-

/Art & Preview/
by 이한나
Tag : #우연, #인연, #상실, #발견, #전시, #타지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타지 서울’ 그룹전-
VIEW 3045

HIGHLIGHT


그룹 TAJ Seoul이 위의 시에서 발견한 삶, 우연과 인연,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다. 우리가 어떤 것을 마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잃는 것까지 사랑의 가치로 해석하고 상실의 대상을 재회의 가능성을 품은 대상으로 전환하여 바라보고자 하였다.


김환기,<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연작, 1970.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 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밤이 깊을수록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광섭_<저녁에>



 

김환기 화백은 뉴욕에 머무르던 1969친구인 시인 김광섭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그는 김광섭의 시 저녁에의 마지막 구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라는 문장을 작업 제목으로그리움을 푸른 점으로 한 점 한 점 새겨 넣은 연작을 그려내었다시에서 별 하나는 화자에게 특별한 대상이었던 누군가이고화자는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한 명이다. ‘와 는 각각 하늘과 땅에 존재하기 때문에 함께 할 수 없는 존재임을 의미한다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화자는 어둠속에서 사라진다어둠과 밝음은 양극단이지만영원의 긴 흐름 속에서 볼 때에둘은 모두 사라진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시의 마지막 구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라는 문장은너와 내가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품고 있다생과 사는 직선의 흐름에 있지 않고 끊이지 않는 원형 궤도 위에 있어우리가 잃은 소중한 존재들을 언젠가는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소망이 느껴진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전시 포스터

 

 


지난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서울 망원동에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는 제목으로 진행되었던 전시가 있다류지원백승렬전예진김본강성훈 5명의 작가로 이루어진 그룹 TAJ Seoul이 위의 시에서 발견한 삶우연과 인연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다우리가 어떤 것을 마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잃는 것까지 사랑의 가치로 해석하고 상실의 대상을 재회의 가능성을 품은 대상으로 전환하여 바라보고자 하였다.

 


Taj Seoul



 

TAJ Seoul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사운드페인팅그래픽 디자인 분야에 속해있는 5인의 작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종합예술 전시를 하고 있다. TAJ는 (다를 타地 (땅 지, ‘다른 지방이나 지역을 뜻하는데그룹에 속한 각 작가들은 어디에 있어도 그곳에 각자가 없는 기분을 느껴 타지라는 그룹명으로 활동하게 되었다고 한다전시를 관람하며 각자가 어떤 곳에 있어도 그곳에 없다고 느끼는 까닭이육체가 있는 곳에 정신이 온전히 머물러 있지 않음을 느끼는 탓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육체는 현재에 머물러 있지만정신은 상실의 대상과 함께했던 과거 혹은 생과 사의 초월적 궤도 위에서 만나게 될 미래에 있기 때문에 정신과 육체가 분리되어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전시 전경

 


 

전시장에 들어서면적색 조명 속에 각 작가의 작업이 벽면에 설치되어 있고 중앙에는 병풍이 펼쳐져 있다보통 전시장에 들어서면흰색 혹은 주광색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하지만 이 전시에는 적색 조명이 설치되어 있었는데분위기가 무겁고 차분했다병풍의 앞과 뒤에는 각각 다른 작가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병풍은 평소에는 바람을 막거나 무엇을 가리기 위해혹은 장식용으로 사용된다또한잔치나 제사를 지낼 때 뒤쪽에 펴 놓는 경우가 많다.

 

 

병풍의 특징 중 흥미로운 점은보통 앞면은 잔치 때에 사용되고 뒷면은 제사 때에 사용되었다는 점이다생을 살아가는 중에 있는 좋은 일인 잔치생이 끝나고 난 뒤 죽음을 기리기 위한 의식인 제사때 사용되는 것이 같은 물건이라는 점이 오묘하고 흥미롭다양극에 놓여 있는 듯한 생과 사가 공존하는 물건인 것이다타지 서울은 이 점에 착안하여양 극에 있는 생과 사가 사실은 양극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공존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한다또한관람객은 병풍을 중심에 두고 그 주위를 돌며 작품을 보게 되는데관람객의 발자취는 타원형을 그리게 된다어쩌면삶의 흐름이 직선이 아니라 원형의 굴레 안에 있음을 암묵적으로 발견할 수 있게 되는 동선이 아닐까.


 


전시 마지막 날 진행된 파티

 

 

또한 전시 마지막 날에는 피날레와 같이 공연과 파티가 진행되었다위에 쓰인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가, ‘파티라는 단어를 보고 의아하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하지만 작가는 세상이 슬픈 일이 많다고 해서 계속 슬퍼하며 살아갈 수 없다.’고 말한다우리의 삶을 고통과 행복이 공존하는 병풍에 빗대어 바라본 것이다이번 전시에서 그려진 것들이 어떤 존재에 대한 상실로 인한 고통이라면이 전시는 타지 서울이 기획한 파티에 의해 온전한 의미를 갖게 된다우리의 삶이 중심에 놓인 병풍과 같다면삶을 살아 내는 것은 중심을 따라 걷는 일이지 않을까 싶다타지 서울의 전시는 우리가 걸어갈 길은 직선이 아니라 원형의 궤도임을 알려준다삶에서 비극 혹은 슬픔만이 지속된다면 그것은우리가 병풍의 뒤편을 걸어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조금 더 앞으로 나아가 옆으로 돌아 걸어가면 병풍의 앞면행복과 환희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작가는 관람객들이 이곳에서 발견되는 소박하지만 계속해서 자라나는 힘을 품고 있는 자연물들의 이미지를 통해, 각자가 제쳐놓은 것들 또한 계속해서 자라나고 있음을 믿게 되길 바란다. 또한, 가장자리에서 자라나고 있는 것들은 점점 중심으로 다가오고 있음을 알게 되길 원한다고 말한다. 전시를 관람하다보면, 전시장 벽면을 따라 걷게될 것이다. 즉, 공간의 가장자리에 작품들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