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관련 서적
두 번째로 소개하려는 예술 서적 분야는 미학 관련 서적입니다. 미학을 간략하게 정의하면 아름다움의 본질과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철학의 한 분야입니다. 다시 말해 미학은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대상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학문으로 현대미학에서는 '미'와 반대되는 '추'의 개념도 주된 탐구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학의 분야를 미학의 역사적 변천 과정/ 미학의 분야, 문제와 탐구 방법 및 현대 미술과의 관련성/ 미학의 대체 학문으로서 감성학 관련 서적들로 나누어 살펴보려 합니다.
1) 미학의 역사적 변천 관련 서적
미학 관련 서적 중 우선 미학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관련된 책들을 모아서 소개합니다.

ㅡ
1. 미학 오디세이 (진중권/휴머니스트)
말이 필요 없는 국민 미학서적으로 시대 순으로 배열된 미학의 개념을 친근한 이야기 형식으로 설명합니다. 미학의 대중화에 영향을 끼쳤던 책인 만큼 재미있는 이야기로 미학에 접근하고 싶은 분들에게 입문용으로 추천합니다.
ㅡ
2. 미학 특강 (이주영/미술문화)
어려운 미학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 과정을 쉽게 설명하는 미학 교과서로서 고대부터 헤겔까지의 '미학특강'과 니체이후 현대까지 '현대미학특강'의 두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학의 개념과 역사를 처음부터 차근차근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추천합니다.
ㅡ
3. 현대미학 강의 (진중권/아트북스)
근대미학의 한계를 비판했던 사상가들에 의해 시작된 탈근대 현대미학의 개념을 숭고와 시뮬라르크라는 대립적인 개념으로 파악하게 합니다. 근대미학과 탈근대미학의 차이로 현대미학의 개념을 파악하고 싶은 분들에게 유용한 책입니다.
ㅡ
4. 미의 역사 (Umberto Eco/열린책들)
시대에 따라 변모되어온 미의 관념변화를 철학자들의 글과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보여줍니다.역사적인 미의 변화 양상을 풍부한 도판과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싶다면 추천합니다.
ㅡ
5. 추의 역사 (Umberto Eco/열린책들)
미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시대에 따라 변모되어온 추의 관념변화를 다양한 자료와 예술 작품을 통해 보여줍니다. 미에 비해 희귀한 추에 대한 자료들로 추의 기준 변화를 파악하고 싶다면 추천합니다.
ㅡ
6. 미학의 역사 (미학대계간행회/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미학의 방대한 역사를 시대별로 또한 지역별로 자세하게 서술합니다. 학술적으로 인용할만한 깊고 폭넓은 미학의 역사 책을 찾고 계신다면 추천합니다.
2) 미학의 분야, 문제와 방법 및 현대 미술과의 관계 관련 서적
특정 분야의 미학을 소개한 서적과 미학의 문제와 방법을 파헤친 서적 및 미학과 현대미술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서적을 소개합니다.

ㅡ
1. 프라그마티즘 미학 (Richard Shusterman/북코리아)
프라그마티즘 미학은 모더니즘 미학에 대한 반성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미학으로 나아가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여 좁은 영역에 한정되어있던 예술의 영역 확장에 기여하였습니다. 힙합, 랩 등 대중문화가 동시대 예술의 영역 안으로 들어오게 된 미학적 배경을 탐구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ㅡ
2. 다원주의 미학 (김진엽/북코리아)
이 책은 개개인의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고 다원적인 삶의 양식과 문화를 공존하게하는 다원주의를 미학의 영역에서 고찰하고 다원주의 미학이 예술의 자양분이 될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동시대 예술의 철학적 토대가 되는 다원주의 미학을 깊이 탐구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ㅡ
3. 미학의 모든 것 (Jerrold Levinson/북코리아)
현재 영미권 미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있는 철학적 미학의 핵심 주제들을 거의 대부분 아우르고 있는 책입니다. 일반적인 미학의 문제와 향후 각광받게될 미학의 분야 및 예술형식 별 미학적 문제를 개괄하여 파악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ㅡ
4. 미학의 문제와 방법 (미학대계간행회/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방대한 미학의 내용이 종합적으로 잘 정리되어있는 미학 백과사전입니다. 관심있는 미학의 세부 주제를 찾아서 읽을 수 있기에 평생을 참조하고 들춰 볼 만한 미학책을 찾고 있다면 추천합니다.
ㅡ
5. 현대의 예술과 미학 (미학대계간행회/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현대 예술의 전개 과정에서 미학이 미친 영향 및 새로운 미학의 쟁점들이 동시대 미술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미학이 현대 예술 및 동시대 예술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싶다면 추천합니다.
ㅡ
6. 미학과 미술 (박일호/미진사)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미학적 관점과 주제를 서양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되짚어봅니다. 비교적 평이한 문체로 서술되어있고 관련된 미술작품이 풍부한 도판으로 삽입되어 있어 체계적으로 미술사와 미학사를 동시에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매우 유용한 책입니다.
3) 미학의 대체 학문으로서 감성학 관련서적
최근 디지털 매체에 의한 예술 시대에 이성 중심 미학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감성학과 관련된 서적을 소개합니다. 감성학의 범주에 들어가는 주요 개념으로는 아우라, 언캐니, 푼크툼, 숭고 등이 포함되며 이번에 소개하는 서적들도 주로 이와 같은 개념을 소개합니다.

ㅡ
1. 감각의 역사 (진중권/창비)
이성이 진리의 근원으로 여겨지면서 철학의 변방으로 밀려났던 감각학의 역사를 복원하고 있습니다.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유구한 감각학의 역사를 탐구하며 다변화하는 예술매체를 통한 새로운 감각 경험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ㅡ
2. 감성시대의 미학 (박성봉/일빛)
모든 사람이 갖고 있는 감정과 느낌을 대변하는 학문으로서 감성학의 의미를 정립하고 있습니다. 미학의 대안으로 떠오른 감성학의 의미를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ㅡ
3. 아우라의 진화 (심혜련/이학사)
발터벤야민이 아우라의 몰락을 선언한 이후 시대에 따라 변신을 거듭하고 있는 아우라의 개념 변화를 추적하면서 아우라와 관련된 감성학 이론인 언캐니, 푼크툼, 숭고의 개념을 비교 설명하고 있읍니다. 아우라를 둘러싼 새로운 지형 변화를 그려보면서 다른 감성학 이론들을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추천합니다.
ㅡ
4. 숭고의 미학 (안성찬/유로서적)
숭고와 미의 관계 및 숭고함의 본질을 설명하며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숭고의 미학이 전개되어온 역사적 경로를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ㅡ
5. 이미지 인문학 (진중권/천년의상상)
미학 이후의 미학으로 평가받는 디지털 미학과 미디어 미학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가상과 실재 사이의 단절을 이어주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존재론적 특성인 파타피직스 개념을 설명하는 1권과 이러한 파타피지컬한 세상에서 인간이 갖게되는 감정과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특성을 언캐니의 관점에서 들여다보는 2권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텍스트 중심에서 이미지 중심으로 변화된 세상에서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져온 문화 예술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를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본 서적 리스트는 예술 이론 전공자를 위한 컬렉션이 아니라 작가(예술가)가 작업하면서 해당 분야를 참조하기에 적합한 목록입니다.
*아직 끝까지 읽어보지 못한 서적의 소개는 책의 서문 및 책을 구입할 당시 참조했던 서평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본 분야에서 위에 언급했던 서적 외에 추가로 주목할 만한 책을 알고 계신다면 댓글로 추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