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Facebook

Artlecture Twitter

Artlecture Blog

Artlecture Post

Artlecture Band

Artlecture Main

색채의 결(結) - 마크 로스코((Mark Rothko)의 색면회화(色面繪畵)에 대하여 | ARTLECTURE

색채의 결(結) - 마크 로스코((Mark Rothko)의 색면회화(色面繪畵)에 대하여

-미국적 추상미술에 대해 말하다 (1편)-

/Insight/
by Celine
색채의 결(結) - 마크 로스코((Mark Rothko)의 색면회화(色面繪畵)에 대하여
-미국적 추상미술에 대해 말하다 (1편)-
VIEW 8553

HIGHLIGHT


인간에게 있어 감정이란, 추함 미움 증오 악함 - 아름다움 사랑 그리움 선함, 낯섦 두려움 - 설렘 새로움, 욕심 오만 - 가벼움과 겸손 등의 상반되는 여러 가지의 감정을 가지고 우리는 살아갑니다. 로스코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감정의 결은 바로 상반된 감정이 만나 충돌할 때 느낄 수 있는 카타르시스를 표현한 것입니다....


"내 그림과 관람자 사이에는 아무것도 놓여서는 안 된다."



마크 로스코(1903-1970)는 전 세계를 대표하는 추상회화의 거장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로스코는 러시아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 미국으로 이민을 오게 되었지요. 뉴욕미술대학연맹에서 공부하였으며 이것은 유일하게 그가 받은 미술교육의 전부입니다. 그러니까 그는 정식으로 미술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었습니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세계의 경제와 정치적 패권을 쥐게 된 미국은 문화의 중심지가 되고 싶었던 욕심이 발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당시 파리에서는 앵포르멜 Informe’이라는 자유로우면서도 강한 색채를 가진 현대적 그림이 유행하던 시기였습니다. 문화의 중심인 유럽보다 우월하고 싶었던 미국은 CIA 등과 같은 정부기관의 후원으로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미술 세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미국 정부는 잭슨 폴락을 시작으로 바넷 뉴먼, 마크 로스코 등 여러 화가들을 후원하였습니다, 더불어 그린버그라는 유태인 미술평론가와 추상회화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며 문화와 예술 또한 미국이 세계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2차 대전이라는 잔인함을 목격한 후 그림 속에 숭고함과 인간에 대한 사랑 그리고 자연으로의 회귀를 꿈꾸며 철학서나 사상서를 탐독하며 구상회화였던 미술을 추상회화라는 새로운 장르로 개척하게 된 것입니다.



 1.<UndergroundFantasy/1940/oil oncanvas/워싱턴내셔널갤러리>   2. <무제/1940>



로스코의 초기 그림에는 인간의 허무함 등의 감정이 많이 나타납니다. 빠른 사회 변화로 인한 즉 기계화, 자본화되어가는 사람들의 무표정한 얼굴이나 지루한 모습 등을 표현하였던 것입니다. 또한 인간이 살기 위해 발버둥 쳐야 하는 모습을 제목을 달지 않고 그림의 대상을 아주 간단한 선으로 표현하였지요. 그러나 오래도록 그림을 바라보면 발버둥 치는 당시 인간의 애처로움이 느낄 수 있습니다. 참고로 로스코의 그림들 대부분은 '무제(untitled)' 또는 'No(Number)'라는 제목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3.<Yellow,Cherry,Orange/173x107cm/oil on canvas/1947> 4.<No21./203x100cm/oil on canvas/1948>

 


로스코의 그림을 아는 이도 있을 것이고 생소한 이들도 있을 것입니다. “아니~ 이것도 그림이야?”라고 반문하는 이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의 그림은 보는 사람의 마음을 흔들어 놓는 아주 감각적인 중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로스코의 그림은 미국 그림이 더 이상 천박하지 않음을 전 세계에 입증해 보였지요. 로스코의 그림이 가지고 있는 그것?이 정확히 무엇이든 간에 그의 그림에는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깊이와 감동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5.<Greenand Maroon/ 6.<No14./290x269cm/oil on canvas/ 7.<Untitled/oil on canvas/1970/

oil on canvas/1953> 1960/SF MOMA/USA> 워싱턴 내셔널갤러리>


 

7번 그림은 로스코가 권총 자살을 하기 전 그린 그의 생애 마지막 그림입니다. 핏빛으로 물든 캔버스는 강렬하다 못해 섬뜩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로스코가 죽은 것을 발견했을 당시 그의 옆에 이 작품이 놓여 있었다고 하네요. 로스코는 미술이 상품화되어가고, 사회가 자본화되어가는 것에 대한 갈등이 매우 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가 자살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사회의 변화로 인해 변해가는 인간성의 상실에 대한 깊은 고뇌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로스코는 토끼가죽 아교에 건조안료를 개어 코튼덕 캔버스에 밑칠한 다음 리퀴덱스사의 보조제에 안료를 섞어 색상을 조절했습니다. 그는 매일 아침마다 어시스턴트들에게 캔버스에 테이프를 붙인 다음 미리 정해진 대로 검정색 사각형을 그리게 했습니다. 처음에는 목탄으로 그린 후 튜브 유화물감을 바르고 마지막에 금방 만들어진 계란 오일 유화액을 칠했지요. 이러한 방식은 고대 기법(템페라)과 당시 최신의 발명품(리퀴덱스사 안료 등)을 접목시킨 로스코만의 놀라운 작업 방식입니다. 그래서인지 현재 로스코의 제작기법에 대해 미술계에선 끊임없는 논란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단순한 모양과 색채 속에 사람의 감정에 움직임을 주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건 관람자와 미술사가들에게는 큰 의무 같은 것이 되어 버리기도 하였지요.

 

인간에게 있어 감정이란, 추함 미움 증오 악함 - 아름다움 사랑 그리움 선함, 낯섦 두려움 - 설렘 새로움, 욕심 오만 - 가벼움과 겸손 등의 상반되는 여러 가지의 감정을 가지고 우리는 살아갑니다. 로스코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감정의 결은 바로 상반된 감정이 만나 충돌할 때 느낄 수 있는 카타르시스를 표현한 것입니다. ()에도 반대되는 색과 비슷한 색들이 있지요. 이러한 반대의 색과 비슷한 색들이 만나는 정점(頂點) 즉 색과 색이 자연스럽게 만남으로써 그 만남은 뒤엉키고 설키어 서로를 흡수하며, 하나의 새로운 정점 즉 자연스럽게 하나의 선()을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색의 충돌로 인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선은 인간 감정을 스스로 뒤돌아보게 만들고 차분하며 고요한 심상을 떠올리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로스코 채플 전경>

 


미국에는 현재 로스코 채플이 있습니다. 채플(Chepel)이라 하여 어떤 이들은 사이비 종교와 함께 엮어 표현하는 이들도 있지만, 이 곳은 신()을 만나기 위함이 아닌 영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만나는 장소입니다. 채플을 찾는 이들은 자신의 어두운 내면과 감정의 파도를 들여다보며 자신과 자신만의 만남을 유도하려는 이들로, 전 세계인들이 찾는 명상 채플입니다. 저도 언젠가는 이 곳을 다녀오려 합니다.

 

저에게 로스코의 그림은 사랑입니다. 거실에는 로스코의 커다란 그림 두 점이 바닥에 깔려 있지요. 그리고 아들도 작은 로스코 그림 액자를 자신의 책장 가운데에 놓아두었답니다. 로스코의 그림은 단순히 한 번 스쳐보는 그림이 아닙니다. 조용히, 차분히, 가만히, 자세히 오랫동안 들여야 다 봐야 한다는 점을 저는 알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나는 과연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자신과 한 번 만나 보길 추천 드려 봅니다.

 


어두운 조명 그림과의 거리 45cm 조용한 공간

-마크 로스코


 

Luka Sulic - Creep (Radiohead) - Live -  



all images/words ⓒ the artist(s) and organization(s)

☆Donation: https://www.paypal.com/paypalme/artlecture

Celine_문화와 예술을 사랑합니다. 글을 쓰며 행복을 느낍니다. 제가 소개하는 그림과 글을 읽으시고 한 분이라도 사랑 그리고 위안 또는 치유받으셨으면 합니다.